본문 바로가기
  • Masacorgi 's Dev Bloggg
TIL/Embedded

릴레이 작동 원리

by masacorgi 2025. 4. 24.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blogId=bonitastudio&logNo=221101930275&proxyReferer=https:%2F%2Fwww.google.com%2F&trackingCode=external

릴레이회로 보는법::5핀, 8핀, 14핀 Relay 배선 회로도 이해하기

안녕하세요 포동이 인사드립니다. 이젠 정말 가을인가봐요 백로가 지나면서 조금은 시원하다~~의 느낌이었...

blog.naver.com


회사의 환경감시 제품은 접점을 포토커플러를 통해 감시한다.

하지만 우리가 사용하는 포토커플러를 통해 받아들일 수 있는 최대 전압은 30V이기에 이를 넘는 전원이 공급되는 접점은 릴레이를 추가해 감시하게 된다.

릴레이는 기본적으로 '스위치' 라고 볼 수 있는것 같다.
감시하고자 하는 회로에 전원이 인가되면, 전자석에 의해 다른쪽 회로가 스위치처럼 닫힌다.(연결된다)

말그대로 닫히기만 하기 때문에 감시하는 입장에서 닫혔는지를 확인하려면 감시장비 측에서 전원을 공급하고 있어야 한다.(전원선+, 신호선-)

평시에는 스위치가 열려있기 때문에 전원이 공급되고 있어도 회로가 끊겨있어 전기가 통하지 않는다.

포토커플러는 전기가 통하면 신호를 발생시키는 장비로, 릴레이가 닫혀 전기가 통하게 되면 감시장비가 공급하는 전원이 전원선을 통해 들어가고, 스위치를 돌아 신호선으로 장비로 다시 돌아오게 되고, 이를 포토커플러가 감지해 신호를 발생시키게 되면
감시장비는 아, 릴레이에 전원이 들어왔구나를 알게 된다.

요약하자면,
릴레이는 감시하는 회로에 전원이 들어오면 스위치가 닫히고,
감시장비는 전원을 흘리고 있다가 스위치가 닫혀 회로가 연결되면 전류가 통하는걸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까지는 릴레이에 NO(Normal Open) 기능을 사용했을 때의 얘기다.

릴레이는 전원이 통할때는 NO 회로에 붙고, 전원이 통하지 않을때는 NC(Normal Closed)에 붙어있다.
대부분 그런지는 모르겠는데, 우리가 사용하는 릴레이는 출력 단자가 NO, NC 두개이다.

때문에 전원이 들어왔을때를 감지하고 싶다면 감시장비측 전원선,신호선을 NO +,- 단자에 물리고
전원이 끊어졌을때를 감지하고 싶다면 감시장비측 전원선, 신호선을 NC +,- 단자에 물리면 된다.

여기까지가 회사에서 사용하는 릴레이 장비를 이해한 내용을 적은 글이다,,
본인은 전자과가 아닌 비전문가이므로 내용을 100% 믿지 않기를 바랍니다,,


'TIL > Embedded' 카테고리의 다른 글

Dry 접점 vs Wet 접점  (0) 2025.03.28
[스크랩] 펌웨어 개발 방법  (0) 2025.03.18
ESP32 칩 백도어 공격 우려  (0) 2025.03.11
[스크랩] 모드버스란 무엇일까  (0) 2025.03.08
VI 친숙해지기  (0) 2025.03.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