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Masacorgi 's Dev Bloggg
카테고리 없음

IoT 모니터링, 접점 감시

by masacorgi 2025. 2. 3.


GPT 4o mini :

IoT 시스템에서 "접점"이라는 용어는 주로 다음과 같은 의미로 사용됩니다.

1. **물리적/전기적 연결 부위**  
   - 센서, 스위치, 릴레이 등과 같이 실제 물리적 장비의 회로나 기계적 부품에서, 외부와 신호나 전력을 주고받기 위한 연결 지점을 "접점"이라고 부릅니다.  
   - 예를 들어, 릴레이의 경우 스위칭 작용을 하는 부분이 접점으로, 열림(OFF)이나 닫힘(ON) 상태에 따라 시스템에 신호를 전달합니다.

2. **시스템과 외부 환경의 인터페이스**  
   - IoT 시스템은 물리적 세계와 디지털 데이터를 연결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때 장비와 외부(예: 센서와 측정 대상, 액추에이터와 제어 대상) 사이의 상호작용 포인트를 "접점"이라고 표현하기도 합니다.
   - 이러한 접점을 통해 물리적 상태나 변화를 감지(또는 제어)하여 디지털 정보로 변환하고, 중앙 시스템이나 클라우드로 전송하게 됩니다.

즉, IoT 시스템에서의 "접점"은 장비가 외부와 실제로 데이터를 주고받는 물리적, 전기적 연결 부위 및 인터페이스를 의미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

접촉하는 지점, 접점의 정확한 정의가 있는것 같지 않다. 데이터를 수집하는 지점, 제어를 내리는 지점, 제어가 수행되는 지점 등 폭넓게 사용되는 느낌이다.

우리회사에서 접점은 조금 다른 의미로 사용된다.
온도, 습도 센서와 달리 접점 감시가 따로 있는데,

평시 12v의 전류를 흘리며 감시하다가 +로 전류가 들어오면(스위치가 닫히면) 감지하는 방식의 감지를 접점이라고 부른다..

이를 다양한 감시센서에 적용할 수 있다. 스위치만 달려있으면 되므로 누수, 수위, 정전, 누전 등등 가장 폭넓게 사용할 수 있는 일반적인 감시 방법인 것 같다.


구글 ai 요약은  접점에서 다음과 같은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고 요약했다.

IoT 접점 감시 제어의 예시는 다음과 같습니다.
누수, 화재, 출입문, 소방 등 접점 감시
분전반, 항온항습기, UPS 등 설비 감시
경보기, 도어락, 원격제어모듈 등의 제어



회사가 온습도 감시 제품이 주력이라 몰랐는데, 사실 접점을 이용한 iot 서비스가 더 폭넓은 생태계인 것 같다.
다음엔 온습도, 누수 등 센서의 작동방식을 하나씩 탐구해 보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