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Masacorgi 's Dev Bloggg
TIL

꾸준한 아티클 서칭, 작성을 위한 데일리 루틴 소개

by masacorgi 2025. 5. 20.

아티클을 꾸준히, 부담 없이 작성하기 위한 데일리 루틴과 방법을 소개합니다.

특히 IoT 관련 기술 아티클을 쓰려면 너무 거창하게 시작하기보다는, 작게 쪼개서, 하루에 하나씩 쓰는 게 좋습니다.


아티클 작성을 위한 데일리 루틴 & 방법 정리


1. 주제 쪼개기 (주 1회)

일요일 or 월요일에 주제를 나눠둡니다.
예: "IoT 백엔드 아키텍처"라는 큰 주제 → 아래처럼 분할
날짜 소주제

IoT 전체 시스템 구조 요약
센서 데이터 수집 구조 (MQTT, HTTP 비교)
게이트웨이 역할과 장비 예시
클라우드/백엔드 아키텍처 개념
데이터 시각화 도구 비교 (Grafana vs Kibana)

+ Tip: 미리 쪼개두면 "오늘 뭐 쓰지?" 고민 안 해도 됨


2. 데일리 작성 루틴 (30~45분)

2.1 시간 분배 예시 (하루 30~45분)

  • 5분: 오늘 쓸 소주제 확인
  • 10~15분: 구글 검색 (키워드 + 공식 문서 skim)
  • 15~20분: 초안 작성 (400~600자면 충분)
  • 5분: 문장 다듬기 / 마무리 저장

2.2 추천 검색 키워드 예시

  • "MQTT vs HTTP site:medium.com"
  • "InfluxDB Grafana IoT tutorial"
  • "AWS IoT Core architecture filetype:pdf"

3. 도구 추천

목적 추천 도구 설명

자료 저장 Notion / Obsidian 키워드, 링크, 캡처 정리
아티클 초안 Google Docs / GitHub 블로그 / velog 쓰기 편한 플랫폼 사용
이미지 Excalidraw / draw.io 시스템 구조 간단히 그릴 때 좋음
마크다운 Obsidian / Typora 문서 정리 + 깃허브 연동 쉽게 가능

4. 꾸준히 쓰기 위한 팁

  • 하루 1주제 = 글 1개로 생각하지 말기 → "하루 1단락"도 충분
  • 처음 2~3주는 퀄리티보다는 분량보다 '기록하는 습관'에 집중
  • 아티클 쓸 때는 "누군가에게 설명한다"는 느낌으로 쓰기

5. 실전 예시 (IoT 백엔드 아키텍처)

날짜별 해야 할 일

IoT 시스템의 구성 요소 요약 (센서, 게이트웨이, 클라우드)
MQTT가 IoT에서 많이 쓰이는 이유 정리
Raspberry Pi 또는 ESP32를 게이트웨이로 사용할 때 구조
AWS IoT Core로 들어오는 데이터의 흐름 정리
Grafana 대시보드 구성 예시와 실습 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