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리) IOT 개발자 되기 - 2023 https://search.app/LXkSATq96Mr7UK5L9
<요약>
요즘의 IoT 시스템은 크게
IoT기기 - 클라우드서버 - 관리자 웹/앱
으로 구성된다.
각각의 큰 파트를 통해 무엇을 공부해야 만렙에 다가갈 수 있는지 알 수 있다.
IoT 기기 :
아두이노, 라즈베리파이, ARM, ESP, 각종 센서, 액추에이터
클라우드 서버와의 통신, 각종 프로토콜 적용
클라우드 서버 :
데이터 수집, 가공, 분석(파이썬이 쉽고 강력),
IoT기기(센서, 제어기)와의 통신, 각종 프로토콜 적용
관리자 웹/앱 :
모니터링, 제어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제공하기
- Backend -
실시간처리에 강력한 node.js 추천
Spring, Flask, Fastapi
- Frontend -
웹 : Vue.js, CSS, bootstrap
앱 : flutter, app inventer
<나의 생각>
회사에서 하는 내용은 IoT 기기에만 국한되어있다.
현재까지는 기기 설치, 조립 업무를 하며 IoT 시스템의 동작 구조를 익히는 중이다.
현장설치부서가 따로 없기때문에 직접 필드에 나가는 일이 많지만 기기가 작동하는 원리와 구조를 설치해보고 수리하며 피부로 느낄 수 있어서 좋다.
기기 내부 보드의 펌웨어도 개발할 수 있게 미리미리 vi, c언어에 익숙해져있어야겠다.
이후 성장을 위해서 위 글에 써있는 클라우드서버, 웹/앱 관리페이지도 집에서 손수 만들어볼 예정이다.
많관부~
'TIL > 스크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Back-end Framework 선정 기준 (0) | 2025.02.12 |
---|---|
[스크랩] DNS란 무엇입니까? (0) | 2025.02.03 |
[스크랩] vi 편집기를 알아야 하는 이유 (0) | 2025.02.02 |
[스크랩] Go 란? (1) | 2025.02.02 |
[스크랩] 경산시의 IOT 프로젝트 (0) | 2025.02.02 |